"/>" width="400" height="300">

">[Flash]



그래도 간다.
다는 못보더라도 가능한 영화는 계속 만나야 한다.
좋은 영화를 만나는 것은 좋은 사람을 만나는 것 만큼 행복한 일이다.

<중경> . 장률감독.
예전에 우연찮게 장률감독과 술자리를 같이 한 적이 있었다.
아마도 <이리>를 찍기 전이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나란 사람이 워낙에 사교성도 없고, 수줍음도 많은 터라... 그냥 옆에 옆쯤에 앉아서 멍하니 모른척 하고 앉아있었다. 밥오.
(하지만, 감독님의 영화를 본 게 없어서...ㅡㅡ;)

그래도 결국 만나게 되어 있는 사람은 언제 어디서든 만나게 되는 것 처럼.
만나게 될 영화 역시 언제 어디서든 이렇게 만나게 된다.
드디어 장률감독 영화를 처음으로 보게 되었다.

<중경>. 세계에서 가장 큰 도시. 인구 3천만이 거주한다는..
이제는 더이상 그 경치 혹은 도시의 존재가 예전 같지 않은 쓰촨성의 중심도시, 그 중경이다.
그리고 그 안에 쑤이와 김씨가 만났다.
김씨는 자신의 물리적 아픔을 여전히 극복하지 못한 후유증으로 이리저리 흘러다니고, 급기야 더이상 중국도 별게 없다고 느낀 나머지, 몽골로 가야겠다고 한다.
그리고 쑤이는 그를 의지하다가, 그의 떠남에 절망하고 점점 나락에 빠져든다.

영화를 보면서, 여러번 놀라게 된다.
처음에 탁월하게 전개하는 공간적 묘사와 인물들간의 관계.
그 경제성은 구조적인 접근에서 칭찬을 하게 된다.
그리고 스타일에 있어서도 다른 영화감독들과 비슷한 흔적들을 발견하게 된다.
중국 중부의 모습이 그래서일까? 중경의 공간을 잡아내는 장면들은 일면 지아장커의 영화에 나오는 싼야의 모습과도 닮아있다. 한편, 인물들을 담는 방식과 호흡에서는 허우 샤오시엔의 여유마저 느낄 수 있다.
그러나 장률의 영화는 점점 그런 스타일에서 벗어난다.
여전히 존재하는 현실들을 헐겁게 병치시키면서, 공간적 배경이 단순히 공간적 배경이 아니라, 또 다른 인물로써 작용한다. 중경의 현재가 부서져 가면서, 인물들도 똑같이 망가져 간다.
쑤이는 자신의 입에서 '나는 점점 더 더러워져 간다'고 한다.
자신의 집을 지키려던 고공시위자는 끝내 높은 다리에서 자살한다.
경찰서장은 계속 다른 여자들을 만나면서 공안의 끝장의 모습을 보여주다 못해, 벌거벗은 채로 거리를 뛴다.
아버지는 끝내 집을 나간다.
창녀는 결국 자신의 몸값을 낮추면서 장사를 계속 한다.
그리고 쑤이의 동네는 곧 철거의 위기에 닥친다.

강이 흘러간다.
여전히 흘러가고, 영화는 지속적으로 강을 보여준다. 마치 <미스틱 리버>의 그것처럼.
분위기는 조금 다르지만, 정녕 고전적인 상징처럼 강의 시간이고, 절대자 같은 느낌을 준다.

심지어 카메라조차 망가져 간다.
처음에 아버지, 쑤이의 각각의 섹스는 문밖에서 들여다보지만,
카메라는 점점 노골적으로 방안으로 들어가고, 한발 더 나아가, 섹스에 골몰하는 인간의 모습을 그대로 지켜본다.

영화가 끝난 후, CinDi Class.
정성일 평론가는 영화를 한참 소개한다. 영화가 만들어진 배경의 소개.
그리고 여지없이 같은 질문을 던진다.
Why digital?
그러나 장률감독은 그것에 대해서 다른 답변을 한다.
구조적 접근을 주무기로 한 평론가의 질문과 영화를 직감으로 만들어 낸 감독의 대답.
합이 맞는 듯 안맞는 듯.
심기일전 한 표창을 가볍게 피하면서, 그것이 중요한게 아니라는 말.
그저 인물의 상태에 따라서 찍는 법을 달리 했을 뿐이라는 대답.

결국 감독이란 그런 존재였나?

고맙다.
결국 영화는 카메라로 찍지만, 마음으로 담아내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