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인물과 사상사'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08.08.04 [박노자] <박노자의 만감일기> 1

[박노자] <박노자의 만감일기>

밑줄 쫙 2008. 8. 4. 11:59 Posted by Ru
제목 : < 박노자의 만감일기>
박노자의 만감일기 상세보기
박노자 지음 | 인물과사상사 펴냄
인간 박노자의 사적이면서도 사회적인 통찰의 기록 <박노자의 만감일기>는 '인간' 박노자의 사적이고 사회적인 고백을 전해주는 책이다. 개인과 가정, 역사와 사회에 대한 사적이면서도 사회적인 궁금증과 생각을 풀어낸 인터넷 블로그 일기들을 모아 엮었다. 너무 민감하거나 너무 개인적이라서 그동안 신문, 학술지 등지에서는 하지 못했던 이야기들을 만날 수 있다. 이 책은 지금까지 볼 수 없었던 박노자의 새로운
글쓴이 : 박노자
부제 : <나, 너, 우리, 그리고 경계를 넘어>
출판사 : 인물과 사상사
출판일 : 2008. 1




2부 : 우리를 넘어
제목 : 제 손으로 제 무덤파기, 과잉성 혹은 예방성 폭력
쓴 날 : 2006. 5. 31


그제 운 좋게 1988년에 개봉한 명작 영화 <칠수와 만수>를 봤다. 나는 영화 비평가도 아니고 영화를 보는 전문적인 눈도 별로 없다. 그러나 일개 관람자로서 바라본 1980년대 말의 '사회 비판적 리얼리즘' 영화들은 최근에 나온 영화들 (박찬욱의 '복수 시리즈' 등)보다 어쩌면 대사회적 효과는 물론 작품성(주인공 성격의 다면적 묘사 등)도 뛰어나다는 생각을 했다. 비교의 대상이 될 수 있는가는 의문이지만.
영화 <칠수와 만수>의 줄거리는 흥미롭다. 특히 재미있었던 부분은 칠수와 만수가 술을 마신뒤 한탄하던 장면이다. 고층 건물 맨 꼭대기에서 술김에 세상에 대한 한탄을 쏟아놓던 칠수와 만수는 '농성자'로 오인받아 순식간에 '진압'의 대상이 된다. 굳이 '진압'하지 않아도 몇 시간 후에 조용히 내려갈 '생사람'을 놓고 권력자들이 하등의 필요성이 없는 '생쇼'를 벌이는 바람에 '블랙 코미디'가 연출된다. 당국자들은 만수 부친이 양심수라는 걸 파악하고는 확성기를 통해 자극적인 방법으로 그 이야기를 꺼낸다. 결국 과격한 행동을 할 것 같지 않던 만수가 밑으로 뛰어내리고 영화는 막을 내린다. 어떤 명시적인 '전복적' 의도를 갖지 않은 사람이 '과잉성의 폭력'을 휘두르는 권력자들에 의해서 '폭도'로 둔갑되어 '진압', 즉 위로부터의 폭력 행사의 대상이 되고 마는 것이다. 공권력 남용이라는 의미에서 '과잉성 폭력'이라 명명해도 되고, 권력의 의도가 체제 반대의 의사 표현 그 자체를 원천 봉쇄하려는 것이기에 '예방성 폭력'이라 명명할 수 있을 것 같기도 하다.
영화가 다루는 시대는 분명 전두환 말기이지만, '민주 인권 태평성세'인 지금도 권력의 이와 같은 속성은 바뀐 것 같지 않다. 강정구 교수 재판만 해도 그렇다. "6.25는 통일 전쟁, 우리는 신식민지!"라는 말을 듣고 성난 군중들이 죽창을 들고 청와대와 미군 기지를 공격할 것 같은가? 이와 같은 류의 주장들이 무수히 나왔던 1980년대 조차 한국은 명실상부한 혁명의 문턱에 닿지 못했다. 김대중-노무현의 대북 포섭책을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강정구 교수와 그 주장이 현 권력체계에 대해 하등의 위협이 될 리가 만무한 것이다. 그럼에도 한국 권력자들은 '전복적 행동'의 그림자만 보여도 벌써 파리에 대고 칼을 휘두르기 시작한다. 사상 재판이라는 '생쇼'가 열리고 강 교수는 직장에서 마녀사냥의 대상자가 되었다. 기껏 해봐야 수백 명이 될까 말까한 농민과 학생, 시민운동가들을 '박살내려고' 약 1만 5,000명의 군경병력과 철거용역을 파견했떤 '대추리 대첩'은 어떤가. '안보' 관련의 분야라면 함부로 덤빌 생각도 말라는 어떤 협박성 (혹은 경고성)의 과잉 폭력 행사로 보인다. 정상적인 공권력으로서는 상상하기 힘든 행동이었다.
세계 12위의 통상대국을 통치하는 이들이 왜 이리도 겁에 잘 질리는 걸까? 신자유주의적 '양극화' 상황에서 저들의 지배에 대한 민중적 동의 기반이 점차 파괴돼 가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차려 이러는 것인가? 아니면 식민지-권위주의 시대 권력자들에겐 아비투스를 성찰, 교정할 만한 능력이 결여된 것인가? 북한과 '친북세력'들이 더 이상 위협적인 존재로 보이지 않으면 비정상적으로 비대화된 육군, 안보기관에 대한 대수술이 불가피해질 것이라는 점을 감지하여 본인들도 믿지 않는 '북한 위협론'을 계속 붙드는 것인가? 정치적으로 봤을 때 북한은 이미 하나의 (하위) '파트너'로 취급 받고 있음에도 국가보안법이 건재하고 간헐적인 '사상 재판'들이 터지는 것으로 봐서는 '공안 관료들의 할 일 만들기'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일들이 의외로(?) 많은가 보다. 희비극이다.
1960년 부정선거시의 발포, 1980년 광주 등의 사례에서 보듯 '과잉성 폭력'이 그들 스스로의 권력명분을 파괴시켰던 과거를 그들이 기억했으면 한다. 오늘날 한국 사회의 성숙도로는, 대추리에서 시민운동가와 학생들을 거의 '재미 삼아' 쓰러뜨려 집중 구타하는 경찰의 모습은 이미 '과거의 흉물'이상으로 보이지 않을터이니 말이다.

----------------------
이상은 글의 전문(全文)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난 당시 국민학교 6학년이었고, 이모부의 친구가 극장과 관계된 누구시라는 덕분에 가끔씩 강남의 동아극장에 갔다. 그리고 형과 같이 미성년자 관람불가(정확치는 않음)였을 이 영화를 극장에서 보았다. 우리형은 중학교1학년이었지. 어찌되었건 굉장히 충격적인 영화였는데, 사실 충격보다는 내겐 그 이상한 아이러니가 강하게 남았다. 내내 웃으면서도 씁쓸했던 기억은 아무래도 당시에 TV만 켜면 나오던 대학생 형, 누나들의 시위장면들이 생각나서였을까. 하지만 영화 속 주인공들인 칠수와 만수는 대학생도 아니고 단지 칠쟁이(이자 장이)들일 뿐이었다. '칠수'. 정감가는 이름. '만수', 어쩜 이런 필부의 이름을.... ^^
박노자가 얘기하는 과잉성의 폭력은 또 다른 정권이 바뀌면서 훨씬 더 강해지고 있다. 앞으로도 정권의 속성은 계속 이런 것일까? 어제 본 <존 레논 컨피덴셜>의 몇몇 장면과도 겹쳐지는 부분이 있다.
학자들이 하는 일이란 이런 것이다. 영화를 보고 나서 드는 어떤 강한 마음속의 인상들을, 몇몇 용어와 논리적인 단어들로 머릿속까지 전달시켜주는 일!
게다가 이러한 "사회 비판적 리얼리즘 영화"들에게는 이러한 과정이 필수적이지 않을까.
단순히 영화를 놓고서 내외적으로 보고 분석하는 것 다음으로 이제 당신들의 머릿속에서, 마음속에서 무언가가 움직이기 시작하지 않는가? 그것이 꼭 주먹쥔 손이거나, 구호가 되어야 한다는 말이 아니다. 어떠한 '인식'이 그냥 시작되지 않느냐고 묻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