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이 영화를 처음 보고 나왔을 때 가장 먼저 떠오른 영화는 스티븐 스필버그의 <우주전쟁>이다. 첫째로, 우주에서 지구로 찾아든 침입자라는 점, 그리고 주인공의 자식들이 자꾸 위험에 빠지게 되고, 주인공들은 자신의 아이를 구하는 데 정신이 없다는 두 번째 지점, 마지막으로 이 침입자들이 주인공들의 영웅적 노력이 아니라, 지구라는 낯선(그들에게는 분명 낯설지..) 행성에서의 부적응(혹은 면역 부족)으로 망하게 된다는 커다란 틀들이 매우 비슷하다.

 

나는 여기서 영화들이 왜 이런 반복적인 메시지를 갖고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생겼다. 그리고 오늘날 수많은 영화들이 가족애를 강조하는 결말을 갖고 있다. 단지 지금 말하고자 하는 두 편이 너무나도 비슷한 구조와 성격을 갖고 있기에 집중 조명해보자는 것일 뿐!

 

내러티브를 단순화 해보자.

 

1.     전제로서의 사건 우주왕복선의 추락, 그리고 그에 묻어들어온 이상한 외계의 바이러스.

2.     주인공의 남편에게 바이러스 중독

3.     주인공의 환자 남편 역시 중독

4.     점차 커지는 위협

5.     주인공의 아들이 아버지의 집에 놀러가는 전환 사건

6.     주인공이 알게 되는 주변의 사건들(바이러스의 발견, 남편의 변화)

7.     아들구하기 및 살아남기

8.     해결책의 발견

9.     그리고 대단원

 

위와 같은 형태로, 이야기는 단순하다. 그러면 이것을 다시 갈등이라는 측면으로 이야기해보자. 이 영화의 가장 큰 갈등은 [외계의 바이러스 vs 지구인], 메인플롯은 지구인들이 죽도록 고생(?) 후에 살아남기쯤이 될 거다. 그리고 이를 다시 세부적으로 미분해보면,

 

1.     [주인공의 남편 vs 주인공 정신과 의사]

2.     [아이의 납치 vs 아이의 엄마 (주인공 정신과의사)]

3.     [남편으로부터 바이러스 감염 vs 잠들지 않아서 감염을 이겨야 하는 주인공]

 

식으로 다층화 한다. 가장 큰 외연에는 위에서 언급한 사회 대 사회의 갈등이 싸고 있으면서, 그 안으로 개인 대 개인’, ‘개인 대 사회의 갈등 들이 다층적으로 개입하고 있는 형태의 갈등 구조인데, 가장 안쪽으로 들어간 갈등이라고 할 수 있는 2,3번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2,3번 갈등이 이루어지고 작용하고 있는 지점이 바로 가족주의인 셈이다. 비록 남편이라는 상징적 권위가 배제되고는 있지만, 궁극적으로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새로운 가부장(다니엘 크레이그)이 등장하면서 대치되고, 그 근원으로는 아들을 구해내려고 안간힘을 쓰는 엄마의 모성애가 가장 큰 핵심을 차지한다. 그리고 결국 이 가족이 붕괴되지 않고, 다시 안정적인 엄마,아버지,아이라는 축으로 가족을 이루면서 이 영화의 질서는 모두 회복한다. 아이의 뇌염 면역은 주인공에 의해서 사태를 해결하는 것은 아닐지라도, 대 사회적 갈등인 지구인의 살아남기에 아주 커다란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이는 은연중에 가족이라는 집단으로 회기함으로써 우리가 살아남고, 행복해질 수 있다는 이데올로기를 담고 있다.

 

어쩌면 이것은 또 하나의 보수반동 이데올로기를 고착화시키는 영화일지도 모른다. 뭐 그렇다고 이렇게 강한 선언을 하는 것은 나의 쓸데없는 버릇이라고 생각하고!!!! 갖다 버리라고 하셔도 상관없고!!!

어찌되었거나, 이 영화가 끌고 가는 주인공 니콜 키드만의 가장 큰 갈등은 아들 올리버를 지키고 싶다는 지점이다. 엄밀히 말하면, 이것은 영화가 갖고 있는 가장 바깥의 갈등과 무관하다. 혹시라도 올리버가 수두를 앓고, 뇌염에 관한 면역이 없었다면 말이다. 다시 말하면, 성긴 개연성으로 풀어가고 있다는 뜻! 하지만 이러한 내러티브적인 개연성보다도 아버지를 새롭게 대치하는 다니엘 크레이그는 결국엔 대안이 아닌 대치일 뿐이라는 지점에서 결국 활성화 에너지가 모자라서 다시 메타 스테이블한 상태로 내려앉은 영화의 운명 및 결론이 슬퍼보일 뿐이다.

 

한편, <우주전쟁>의 경우, 딸은 구하려는 아버지의 필사적인 노력이 눈부시다. (희한하게도 니콜 키드만은 아들을 구하고, 탐 크루즈는 딸을 구하는데 거의 목숨을 다 바치면서 뛰어다닌다. 그런데도 더욱 아이러니컬한 (영화밖) 사실은 두 사람이 결혼 생활을 영위할 당시 둘 사이에는 아이가 없었다는 사실이다. 게다가 가족이었던 두 배우가 아이도 없는 채로 찢어져서 각각 가족의 온정이 넘치는 영화를 찍었으니이건 또 무슨 운명의 장난이신가? 거참 장난도 심하시지) 개인적으로 <우주전쟁>을 처음 봤을 때는 굉장히 실망감을 가졌다. 실망감을 갖고서 내가 왜 실망을 하고 있을까 하고 생각했을 때 1차적인 답은 탐 크루즈의 이미지였다. 그는 출연한 전작들에서 꽤나 열심히 뛰어다니고 능력이 뻗는 요원이었기 때문이고, 나는 <우주전쟁>을 보면서, 탐 크루즈가 화성에서 온 트라이포드를 부수고, 외계인을 처단하는데 지대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기대했기 때문이었다. 게다가, 그 영화안에서 단 한번 수류탄으로 트라이포드를 부수는 장면을 봤을 때는 정말로 영화의 남은 1/3이 우리의 영웅탐 크루즈를 보여줄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그러한 기대는 전혀 존재하지 않았다.

<우주전쟁>에서 빛나는 장면은 탐 크루즈가 차를 갖고서 도망치려고 할 때이다. 굴러가는 유일한 차를 본 군중들은 그것을 뺏으려고 달려들고, 그는 뺏기지 않으려고 안간힘을 쓴다. 그러한 장면은 <인베이젼>에서 (이미 변신한) 외계 지구인들이 니콜과 아들이 도망치려는 차 위로 달겨드는 장면과 겹친다. 이것은 두 영화에서 공통된 공포이고, 각각에서 괜찮은 장면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영화를 벗어나서 현대 사회를 생각해보면, 점차 가족의 단위는 축소되어 1인 가구가 늘어나고 있고, 가족간의 혈연 역시 그 끈끈함이 묽어지고 있다. 그런데 왜 우리는 이러한 전 지구적 위기를 가족주의를 통해서 극복해야 하는 것이고, 그것을 보면서 안도감을 느끼게 되는 걸까? 이러한 영화들이 갖고 있는 성찰들을 과연 받아들일 수 있는지, 혹은 그것이 강조하는 퇴행적(!) 이데올로기인 가족주의를 다시 불러들어야 하는 것인가?

뭔가 거짓말을 하고 있다는 강한 의심이 든다.

 

사실은 그렇게 얼굴에 무언가 뱉어지지 않았더라도, 우리는 이미 외계인이다.